금, 2022년 10월 14일 - 11:42

양이원영 의원, 산업단지 태양광 잠재량 47.7GW
규제 해소로 에너지전환 역할 해야
- 이론적 잠재량 47.69GW, 국내 총발전설비량의 35.5%에 달해
- 그러나 현재까지 각종 규제 등으로 전체 면적 대비 0.47%에 불과해
- 그러나 현재까지 각종 규제 등으로 전체 면적 대비 0.47%에 불과해
- 전력피크시간 산업용전기요금 최대 210원, 태양광 발전이 더 저렴
- 이격거리 규제 개선 및 지원확대를 통해 보급확대가 고유가 위기 극복의 열쇠
더불어민주당 양이원영 국회의원은 오늘(14일) 한국산업단지공단 국정감사에서 산업단지 태양광의 무궁무진한 잠재량을 거론하며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산업단지 태양광 사업 규제해소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양이원영 의원이 한국산업단지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산업단지 지붕형 태양광의 이론적 잠재량은 47.69GW, 기술적 잠재량은 14.46GW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전체 발전설비용량(2021년 기준) 대비 각각 35.5%, 10.8%에 달하는 규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 산업단지 중 산업단지공단에서 추진하고 있는 지붕형 태양광이 조성된 면적은 전체 대비 0.47%에 그치고 있어 보급이 저조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지자체별 신재생에너지시설 이격거리 규제가 상이하고 이격거리가 최대 1,000m에 이르는 등 화재, 안전, 개인재산권을 이유로 최소한의 이격거리를 규정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세계적인 추세와는 달리 매우 엄격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한, 태양광 투자비용 회수, 자금 대출 시 추가 담보 부담, 재산권 행사 제약 등 각종 규제와 지원 미비로 보급확대가 정체되고 있다.
이에 대한 개선대책으로 입주기업 태양광 투자 부담 경감을 위한 인센티브 부여, 자가소비형 태양광 보급, 노후화된 지붕 보수 비용 지원, 태양광 투자 관련 보증 프로그램 마련이 제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또한 양이원영 의원은 고유가로 산업용 전기요금이 최대부하시간대에 210원/kwh에 이르고 있다며 태양광 LCOE는 123.4~152원/kwh에 불과해 조업이 한창인 피크시간대 태양광이 경쟁력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미 RE100 가입 기업의 전력사용량이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초과한 상태”라며“RE100 요구를 받은 산업단지 입주 중견, 중소기업을 위해서라도 산업단지 지붕형 태양광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끝>
[2022국감] 공공플랫폼 바이코리아, 운영비4억? 개발비 55억? 접속자수는 저조!!!
https://youtu.be/YmzOIPdDUtw
[2022국감] 산업위기특별지역 4년간 8조 투자, 그런데도 성과 미흡..!!!
https://youtu.be/J6EV4QjgES8
[2022국감] 에기평, 원전관련 인력예산 제로? 원전R&D 예산 가장 높아..2050년 2천GW 시장 대비해야..
https://youtu.be/4NAv9-O64w8
지방의 시골에는 다양한 사업이 가능해져야하고 그럼으로 젊은이들이 지방과 시골 농지도 오는 기회가 되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지구옹난화로 인한 국제적인 탄소감축을 달성하기 위한 재생에너지라면, 기름한방울 안나는 우리나라가 자연에 주는 깨끗한 에너지인 태양광 풍력을 적극 사용하용하여 에너지 독립을 이끌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주민에게 극심한 피해를 주는 일부의 상황에 대한 규제는 반드시 필요하겠지만 결국엔 방향은 그렇게 가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금번 이격거리 관련 정책을 포함하여 민주당, 국민의 힘, 모든 정당이 똘똘 뭉쳐 이번 법안을 적극 통과해주시길 바랍니다.
- 답글
고유 주소